주휴수당은 시간제 근로자의 경우 15시간 이상 근무한 경우 발생하게 되는데요. 일반적으로 월급 근로자의 경우에는 이미 포함된 경우가 많지만 시간제 근로자의 경우 주휴수당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에는 간단하게 알바몬 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와 이용방법, 주휴수당 및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안내를 해드리겠습니다.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이란 근로자가 규정된 일주일 근무일을 다 수행한 경우, 일반적인 휴일에도 근무를 하며 근로자에게 주는 급여를 말합니다. 이는 휴일에 근무하면 하루 근무 시간에 해당하는 금액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휴수당은 일반적으로 '하루 근무 시간 x 시급'으로 계산됩니다.
월급 근로자와 시간제 근로자는 주휴수당 지급 기준이 다릅니다. 월급 근로자는 월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지만, 시간제 근로자는 일주일 근무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경우에만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법적 근거
근로기준법 제 55조
사용자는 일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한 노동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하며, 이를 주휴일이라 한다. 주휴수당은 이 주휴일에 하루치 임금을 별도 산정하여 지급해야 하는 수당을 말한다.
근로기준법 제18조(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 3항
4주 동안(4주 미만으로 근로하는 경우에는 그 기간)을 평균하여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는 제55조와 제60조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알바몬 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먼저 아르바이트 주휴수당 계산기로 이동을 하고자 하신다면 하단에 안내해드린 바로가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쉽게 이동을 할수가 있을겁니다. 이동하시면 바로 이용할수 있는 계산기가 나올텐데요. 시급과 일일근무시간, 일주 근무일수, 월 연장 근무시간, 세금적용 여부를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눌러주세요.
주휴수당 노무관련 무료상담 받기
안내해드린 아르바이트 주휴수당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발생하게 되는 주휴수당에 대해서 확인이 가능하실거에요. 실제 지급 받는 금액과 상이하다면 무료로 무료상담을 해보실수가 있습니다. 아래 바로가기를 이용해서 무료상담 가능해요.
이번 시간에는 알바몬 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와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주휴수당에 대한 안내와 법적근거에 대해서 안내를 해드렸습니다. 실제 지급 받는 금액에 문제가 있다면 무료상담도 안내해드린니 상담해보시기 바랍니다.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