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재산세 납부 카드 혜택, 무이자 할부, 캐시백 총정리 지금 확인하세요

#수요공급# 2024. 12. 11. 11:16

매년 7월과 9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입니다. 많은 분들이 이 시기에 재산세를 납부하면서,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 고민하실 텐데요. 신용카드를 활용하면 무이자 할부, 캐시백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4년 기준 주요 카드사별 재산세 납부 혜택과 납부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2024 재산세, 카드로 납부하고 혜택까지 챙기자! 9월

 

주요 카드사별 재산세 납부 혜택

각 카드사에서는 재산세 납부 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 표를 통해 카드사별 혜택을 확인해보세요.

 

카드사

혜택 내용

비고

신한카드

개인 체크카드로 지방세 납부 시 납부금액의 0.1% 캐시백캐시백이 1만 원 미만일 경우 마이신한포인트로 적립

캐시백 지급일: 2024년 10월 8일

BC카드

국세·지방세 납부 시 누적 이용금액에 따라 최대 1만 원 할인5만 원 이상 결제 시 2~3개월 무이자 할부 가능

우리BC카드 제외, 페이북 앱 '마이태그' 응모 필요

KB국민카드

직장인보너스체크카드로 국세·지방세 납부 시 7,000원 할인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 시 적용

우리카드

5만 원 이상 지방세 납부 시 2~3개월 무이자 할부10/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가능50만 원 이상 납부 시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쿠폰 증정

 

현대카드

5만 원 이상 납부 시 2~3개월 무이자 할부6, 10, 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가능재산세 납부 시 M포인트 사용 가능

 

재산세 신용카드 납부 방법

재산세를 신용카드로 납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위택스(Wetax) 홈페이지 이용
    • 위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공인인증서나 간편인증으로 로그인합니다.
    • '지방세 납부' 메뉴에서 납부할 세목을 선택합니다.
    • 결제 수단에서 신용카드를 선택하고, 카드 정보를 입력하여 납부를 완료합니다.

     

  2. 지방자치단체 방문
    • 가까운 시·군·구청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합니다.
    • 무인 수납기나 담당 창구에서 신용카드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3. 은행 CD/ATM기 이용
  • 전국 주요 은행의 CD/ATM기를 이용하여 신용카드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카드 삽입 후 '지방세 납부' 메뉴를 선택하고, 안내에 따라 진행합니다.

재산세 신용카드 납부 시 유의사항

  • 수수료: 일부 지자체에서는 신용카드 납부 시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납부 전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포인트 적립 및 사용: 재산세 납부 시 카드 포인트나 마일리지가 적립되지 않거나, 사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특히, 신한카드의 경우 지방세 납부 시 포인트나 항공마일리지가 적립되지 않습니다.
  • 무이자 할부 조건: 각 카드사별로 무이자 할부 적용 조건이 다를 수 있으므로, 납부 전에 해당 카드사의 무이자 할부 조건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벤트 참여 방법: 일부 카드사의 혜택은 사전 응모가 필요할 수 있으니, 납부 전에 해당 카드사의 이벤트 참여 방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재산세 납부는 매년 반복되는 부담이지만, 신용카드를 활용하여 무이자 할부나 캐시백 등의 혜택을 받으면 그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습니다. 각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꼼꼼히 확인하고,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조건을 선택하여 현명하게 재산세를 납부하시기 바랍니다. 납부 전에 반드시 최신 혜택 정보를 확인하시고,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2024 재산세, 카드로 납부하고 혜택까지 챙기자!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