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4 4대보험계산기, 사회보험료 변화와 계산 방법 알아보기 클릭하여 자세히

#수요공급# 2024. 3. 6. 14:09

2023년의 막을 내리며, 2024 년은 다양한 정책과 제도의 변경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사회보험료의 변화입니다. 4대 보험은 국민의 건강과 소득을 보호하는 사회경제 제도로, 근로자와 사용자가 부담하는 비율이 다릅니다. 이번에는 2024 4대보험계산기 를 통해 사회보험료의 변화와 계산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4대보험료 계산기 - 노동OK

 

4대 보험이란?

4대 보험은 국가가 국민의 생활 보장, 기본권 보장, 의료 보험 보장, 고용에 관한 보장 등을 위해 도입한 사회경제 공적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국민의 질병, 장애, 노령, 실업, 사망 등을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보호합니다.

 

4대 사회보험

  1. 건강보험
  2. 국민연금
  3. 고용보험
  4. 산재보험

또한, 2024 년부터는 5대 사회보험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추가될 예정입니다.

 

4대 보험 요율 및 사회보험료 계산

각각의 4대 보험에 대한 요율과 사회보험료 계산 방법을 살펴봅시다.

 

건강보험

  • 요율: 7.09% (직원부담 3.545%, 사업자부담 3.545%)

 

국민연금

  • 요율: 9.0% (상한소득월액 590만원)

 

고용보험

  • 149인 이하:
    • 요율: 2.05% (직원부담 0.9%, 사업자부담 1.15%)

     

  • 150인 이상:
  • 150 ~ 1,000인 미만:
    • 요율: 2.45% (직원부담 1.55%)

     

  • 1,000인 이상:
  • 요율: 2.65% (직원부담 1.75%)

 

산재보험

  • 업종요율에 따라 부담 (업종별로 참고 필요)

 

사회보험료 계산기

2024 년 4대 보험료 인상 및 조정된 요율 정보를 확인하고 계산할 수 있는 사회보험료 계산기가 제공됩니다. 자세한 정보는 링크 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4대보험료 계산기 - 노동OK

 

4대 보험 계산 방법

4대 보험료는 근로자의 근로소득을 기반으로 계산됩니다. 산재보험을 제외한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요율을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 보험요율 (전체): 9.0%
  • 근로자 기여: 4.5%
  • 사업주 부담: 4.5%

 

건강보험

  • 보수월액 X 7.09%
  • 근로자 부담: 3.545%
  • 사업주 부담: 3.545%

 

고용보험

  • 요율: 1.8%
  • 근로자 부담: 0.9%
  • 사업주 부담: 0.9%

 

산재보험

  • 근로자 평균보수 X 업종요율
  • 부담: 100%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은 특이한 요율을 가지고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4대 보험료 계산기를 통해 월급과 업종에 따라 쉽게 계산할 수 있으며, 2024 년에는 4대 보험이 동결될 예정입니다.

2024 년에도 4대 보험 요율은 이전과 동일하게 적용되며, 근로자와 사용자가 각각의 요율을 부담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사회보험 시스템이 지속됩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4대 보험료와 계산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시기를 바랍니다.

구분

총 보험 요율

직원부담 요율

사업자부담 요율

참고

건강보험

7.09%

3.545%

3.545%

건강보험 동결

국민연금

9.0%

4.5%

4.5%

상한 소득월액 590만원

고용보험

1.8% ~ 2.65%

0.9% ~ 1.75%

0.9% ~ 0.9%

고용보험 동결

산재보험

업종별 참고

 

위의 표는 2024 년의 4대 보험료 요율을 보여줍니다. 업종별 참고는 실제 산재보험 요율이 업종별로 다를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관련 기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