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퇴직연금 제도의 종류, 확정급여형, 확정기여형, 개인형 비교분석

#수요공급# 2023. 12. 22. 17:19

퇴직연금 제도 는 근로자들의 안정적인 노후를 보장하고, 노후 생활을 준비하는 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이 글에서는 퇴직연금 제도 에 대한 정보와 종류, 그리고 퇴직연금 제도 의 특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고용노동부> 정책자료> 근로조건개선 > 퇴직연금제도

 

퇴직연금 제도 소개

퇴직연금 제도 란 퇴직 시 안전하게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수령할 수 있는 노후 소득 보장 제도입니다. 2005년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시행으로 도입되었으며, 2019년 말 기준으로 39만 개 사업장에서 운영 중이며 593만 명이 가입하고 있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퇴직연금 제도의 종류

퇴직연금 제도 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확정급여형(DB형) 퇴직연금

이 제도에서 근로자는 퇴직 시 사전에 확정된 급여를 수령합니다.

 

확정기여형(DC형) 퇴직연금

사용자가 사전에 확정된 부담금을 납입하고, 근로자는 적립금을 운용하여 퇴직 시 급여로 수령합니다.

 

개인형(IRP) 퇴직연금

근로자가 이직 또는 퇴직 시 수령한 퇴직급여를 적립, 운용하여 노푸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제도입니다.

 

퇴직연금 제도 도입 및 운영 방법

퇴직연금 제도 를 도입하고 운영하기 위한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제도 설정 : 사용자가 근로자 대표의 동의를 받아 도입합니다.
  2. 퇴직연금 규약 작성 및 신고 : 퇴직연금 규약을 작성하고 근로자 대표의 동의를 받아 지방고용노동관서장에 신고합니다.
  3. 운용 및 자산관리 계약 체결 : 사용자는 근로자 대표의 동의를 받아 퇴직연금 사업자를 선정하고 계약을 체결합니다.
  4. 제도 운영 : 퇴직연금 사업자가 운용관리 및 자산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사용자 또는 근로자의 운용지시를 받아 적립금을 운용합니다.

 

퇴직금 제도와 퇴직연금제도 비교

퇴직금과 퇴직연금제도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퇴직금

퇴직연금제도 (DB형, DC형, IRP)

퇴직급여형태

일시금

연금 또는 일시금

급여수준

근속년수 1년당 30일분의 평균임금

일시금 기준으로 퇴직급여 (DB형)

규약신고

취업규칙

퇴직연금규약

사외적립 부담 수준

사용자 재량

퇴직금추계약의 90% 이상 (DB형)

부담금 납무

사용자

가입자

수수료 부담

-

운용, 자산관리: 사용자 (DB형)

적립금의 운용

-

사용자 (DB형)

연금수령요건

-

55세 이상으로 가입기간 10년 이상 (DB형)

중도인출(중간정산) 가능 사유

가능 (특정한 사유)

불가 (DB형)

 

중도인출(중간정산) 가능 사유

퇴직연금 제도 에서 중도인출(중간정산)이 가능한 사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무주택자의 주택구입 및 전세금 부담
  • 본인, 배우자, 부양가족의 6개월 이상 요양 등
  • 코로나19 등 감염병으로 인한 피해
  • 감염병 등으로 직접 피해를 입거나 사업장 휴업으로 인한 경제적 곤란

 

중도인출(중간정산) 신청 및 절차

중도인출(중간정산)을 신청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라야 합니다:

  1. 퇴직연금 사업자에게 중도인출(중간정산) 신청서 제출
  2. 중도인출(중간정산) 신청서와 필요한 서류 제출
  3. 퇴직연금 사업자의 중도인출(중간정산) 승인 및 지급

 

결론

퇴직연금 제도 는 노후에 대비하여 금융적인 안정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각종 퇴직연금 제도 의 특징을 이해하고, 중도인출(중간정산) 가능 사유와 절차를 파악하여 노후를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관련 정보를 찾아보시기를 권장합니다. 퇴직연금 제도 는 근로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혜택을 제공하며, 노후에 대한 금융적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고용노동부> 정책자료> 근로조건개선 > 퇴직연금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