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에는 2023년의 가장 핫한 주제, '2023 월급'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최저임금의 상승과 변화에 따라 어떤 영향을 받을지, 그리고 실제로 얼마만큼의 월급을 받을 수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월급이란?
지난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최저임금이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이제부터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최저임금 상승
2023년 최저임금은 9,62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지난 해보다 5%의 상승폭을 보였습니다. 최저임금 위반 시에는 벌금액과 신고 방법을 꼭 알아두세요!
5년간 최저임금 상승 추세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최저임금은 꾸준한 상승을 보였습니다. 2023년에도 이어지며, 9,620원으로 상승하였습니다.
2023년 시급 9,620원
노동계와 경영계의 의견 충돌 끝에 결정된 2023년 최저임금은 9,620원입니다. 이전에는 노동계가 10,890원, 경영계가 9,160원을 제안했었지만, 이와 다르게 결정되었습니다.
2023년 최저임금 확정
2023년 최저임금은 8월 5일에 고시되어 2023년 1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 최저임금을 지키지 않으면 신고 가능하며, 임금체불 신고 방법도 꼭 확인해 보세요.
월급 및 연봉 계산
이제 실제로 2023년 최저임금을 토대로 월급과 연봉을 계산해보겠습니다.
2023년 예상 월급 및 연봉
만약 최저시급인 9,620원으로 근무시간인 209시간을 기준으로 월급과 연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최저임금 |
9,620원 |
근무시간 |
209시간 |
예상 월급 |
2,010,580원 |
예상 연봉 |
24,126,960원 |
또한 가족 수와 비과세액을 고려하여 예상 월급과 연봉의 실수령액도 계산해보았습니다:
예상 월급 실수령액 |
1,815,250원 |
예상 연봉 실수령액 |
21,783,000원 |
최저시급 실수령액 월급 계산법
최저시급의 변화에 따라 월급을 계산하는 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최저시급
2023년 최저시급은 9,86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주휴수당을 고려하면 하루 8시간, 주 5일 근무의 경우 주급은 46만 1760원입니다.
2023년 최저시급 실수령액 계산
2023년 최저시급으로 월급을 계산하면 201만 580원이며, 연봉으로 환산하면 241만 26960원이 됩니다.
최저임금과 세후 실수령액에 관한 정보
2023년 최저임금과 세후 실수령액에 관한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최저임금 상승
2016년부터 2023년까지 최저임금은 6,030원에서 시간당 9,620원까지 상승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최저 급여액도 증가하였습니다.
최저임금 결정 과정
매년 8월 5일까지 고용노동부 장관과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다음 해의 최저임금이 결정됩니다. 이 결정은 근로자의 생계비, 유사 근로자의 임금, 노동 생산성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최저임금 법적 제재
최저임금을 미지급하게 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는 헌법과 근로기준법에도 명시된 중요한 제도입니다.
비과세 항목
비과세 항목에는 4대 보험료와 소득세를 줄여주는 혜택이 포함됩니다. 식대, 자동차 운전보조금, 자녀보육수당 등이 여기에 해당하며, 이를 제외한 금액이 실수령액이 됩니다.
국민연금 변화
국민연금은 급여에서 비과세 급여를 뺀 금액의 4.5%로 계산되며, 하한액과 상한액도 조정되었습니다.
건강보험 변화
건강보험 요율은 7.09%로 상승하였으며, 근로자 부담분은 3.545%입니다. 장기 요양보험 역시 상승하였습니다.
소득세 적용
소득세는 근로소득 간이 세액표를 참고하여 결정되며, 총소득에서 근로소득공제 등을 제외한 금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급여통장 추천
급여통장은 수시입출금 금융상품에 '급여계좌' 기능을 부여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이체 수수료 할인, 보너스 포인트, 추가 금리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IBK 급여 라운지
IBK기업은행의 급여통장 서비스인 'IBK 급여 라운지'는 급여로 추정되는 금액이 입금되면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급여실적 현황, 할인쿠폰, 재테크 정보 등을 제공하며, 더 많은 혜택을 누려보세요.
준법감시인 심의필
금융소비자의 권리를 강조하는 준법감시인 심의필이 있습니다. 이 심의필은 2023년 12월 31일까지 유효하며, 권리 보호를 위한 중요한 기간입니다.
마무리
2023년 최저임금과 월급, 그리고 실수령액에 관한 정보를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도 변화하는 경제 상황과 함께 월급 변동에 대비해 더 나은 준비를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